콘텐츠로 건너뛰기

2025년 5월 17일 아파트 실거래가 정보

국토교통부-아파트-실거래가

아파트 실거래가 분석

2025년 5월 17일
아파트-실거래가-국토교통부

서울특별시 (아파트 실거래가 Top10)

순위 아파트명 가격 면적 층수 건축년도 지역 계약일
1 극동 9억 8200만원 104.15㎡ 10층 2000년 강서구 2025년 4월 24일
2 둔촌역청구 9억 7700만원 84.94㎡ 10층 1999년 강동구 2025년 5월 2일
3 건영 9억 6000만원 84.945㎡ 11층 2000년 성동구 2025년 5월 7일
4 마곡수명산파크1단지 9억 6000만원 84.82㎡ 1층 2007년 강서구 2025년 5월 15일
5 일신건영휴먼빌 9억 5000만원 84.95㎡ 9층 2004년 강서구 2025년 4월 21일
6 라이프미성 9억 4000만원 125.75㎡ 8층 1988년 은평구 2025년 5월 3일
7 양평한신 9억 3000만원 59.94㎡ 14층 1996년 영등포구 2025년 4월 26일
8 가양우성 9억 1000만원 84.87㎡ 12층 1990년 강서구 2025년 5월 3일
9 삼환 9억 59.53㎡ 6층 1997년 영등포구 2025년 5월 13일
10 한진한화그랑빌 8억 9200만원 84.97㎡ 15층 2002년 노원구 2025년 5월 15일

서울특별시 아파트 실거래가 분석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

최근 서울특별시의 아파트 실거래가는 9억 원 대를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강서구와 강동구, 성동구가 주요 거래 지역으로 부상하며, 평균 거래 면적은 약 85㎡ 수준입니다.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한 극동 아파트는 9억 8,200만원에 거래되었고, 이는 104.15㎡ 면적을 가진 아파트로, 거래가 활발한 지역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아파트 실거래가 트렌드

2025년 4월부터 5월 사이의 데이터를 보면, 서울시의 아파트 가격은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중소형 아파트의 거래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가격 변동은 크지 않으나 지역별로는 강서구와 영등포구가 눈에 띄는 활동을 보이고 있습니다. 거래량이 높은 지역들은 교통 편의성과 생활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는 곳들로 보입니다. 이러한 트렌드는 앞으로도 해당 지역의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부산광역시 (아파트 실거래가 Top10)

순위 아파트명 가격 면적 층수 건축년도 지역 계약일
1 래미안포레스티지 8억 7300만원 84.9963㎡ 16층 2024년 동래구 2025년 4월 30일
2 삼익비치 8억 2000만원 61.09㎡ 1층 1979년 수영구 2025년 5월 3일
3 부산더샵센텀포레 7억 9000만원 84.8954㎡ 8층 2014년 수영구 2025년 4월 21일
4 래미안어반파크아파트 7억 8200만원 84.94㎡ 16층 2022년 부산진구 2025년 4월 24일
5 광안자이 7억 8000만원 73.67㎡ 21층 2020년 수영구 2025년 4월 30일
6 거제동월드메르디앙 7억 7500만원 141.266㎡ 24층 2005년 연제구 2025년 5월 15일
7 대연롯데캐슬레전드1단지 7억 5500만원 84.95㎡ 31층 2018년 남구 2025년 5월 13일
8 동래효성해링턴플레이스 7억 4000만원 105.316㎡ 48층 2019년 동래구 2025년 4월 27일
9 더샵파크시티 7억 3500만원 101.95㎡ 21층 2015년 연제구 2025년 5월 12일
10 삼호가든맨션 7억 1370만원 63.0㎡ 6층 1985년 해운대구 2025년 4월 29일

부산광역시 아파트 실거래가 분석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

2025년 4월부터 5월 초까지 부산광역시의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을 살펴보면, 동래구와 수영구가 눈에 띄는 거래가 이루어졌습니다. 특히 래미안포레스티지가 8억 7300만원으로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하였고, 수영구의 삼익비치와 부산더샵센텀포레가 각각 8억 2000만원과 7억 9000만원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전체적으로 중형 및 대형 면적의 아파트가 주로 거래되었으며, 평균 거래 가격은 약 7억원에서 8억원 사이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아파트 실거래가 트렌드

최근 부산광역시의 아파트 실거래 트렌드는 주로 도심 접근성이 좋은 지역과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하는 수영구와 동래구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고층 아파트와 넓은 면적을 가진 아파트들이 높은 가격에 거래되는 추세가 나타납니다. 이는 해당 지역의 인기와 함께 투자 가치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결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대구광역시 (아파트 실거래가 Top10)

순위 아파트명 가격 면적 층수 건축년도 지역 계약일
1 월드마크웨스트엔드 9억 8500만원 150.73㎡ 18층 2010년 달서구 2025년 5월 14일
2 동대구역화성파크드림 9억 3000만원 125.293㎡ 10층 2023년 동구 2025년 4월 30일
3 수성태영데시앙 8억 1000만원 131.029㎡ 13층 2008년 수성구 2025년 4월 19일
4 e편한세상범어 6억 9000만원 84.791㎡ 15층 2015년 수성구 2025년 5월 1일
5 더샵수성라크에르 6억 8000만원 84.9397㎡ 17층 2024년 수성구 2025년 4월 21일
6 두류센트레빌더시티 6억 1000만원 84.5625㎡ 22층 2022년 달서구 2025년 4월 15일
7 힐스테이트달성공원역 5억 9538만원 84.9509㎡ 29층 2024년 중구 2025년 5월 15일
8 수성알파시티청아람 5억 9000만원 84.9789㎡ 18층 2021년 수성구 2025년 5월 13일
9 성당동더샵 5억 9000만원 142.706㎡ 6층 2008년 달서구 2025년 5월 15일
10 대신센트럴자이 5억 2500만원 84.8382㎡ 24층 2015년 중구 2025년 5월 15일

대구광역시 아파트 실거래가 분석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

대구시의 최근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은 수성구와 달서구가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월드마크웨스트엔드가 9억 8500만원으로 최고 거래가를 기록했으며, 동대구역화성파크드림과 수성태영데시앙 등 주요 지역의 아파트들도 높은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84㎡ 전후의 중형 아파트들이 주로 거래되며, 평균 거래가는 5억 원에서 9억 원 사이로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아파트 실거래가 트렌드

최근 거래 트렌드는 수성구와 동구의 고급 아파트 단지들이 높은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 중구의 아파트들도 5억 원 후반대에서 거래되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특히, 5월 중순에 이루어진 거래들이 눈에 띄며, 이는 봄철 부동산 시장의 활성화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향후 가격 변동은 지역별 개발 계획과 경제 상황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천광역시 (아파트 실거래가 Top10)

순위 아파트명 가격 면적 층수 건축년도 지역 계약일
1 송도푸르지오하버뷰 9억 2500만원 101.81㎡ 13층 2011년 연수구 2025년 4월 23일
2 힐스테이트송도더스카이 7억 9600만원 84.8787㎡ 49층 2024년 연수구 2025년 4월 19일
3 청라센트럴에일린의뜰 7억 9000만원 95.2717㎡ 18층 2018년 서구 2025년 5월 10일
4 청라SKVIEW 7억 5300만원 115.025㎡ 15층 2011년 서구 2025년 5월 7일
5 청라 엑슬루타워 7억 5000만원 132.68㎡ 18층 2011년 서구 2025년 5월 12일
6 힐스테이트레이크송도2차 7억 84.96㎡ 17층 2020년 연수구 2025년 5월 1일
7 삼산타운6단지 6억 8000만원 84.96㎡ 14층 2004년 부평구 2025년 4월 29일
8 에코메트로5 6억 7000만원 143.265㎡ 19층 2010년 남동구 2025년 5월 15일
9 부평SKVIEW해모로 6억 7000만원 84.9825㎡ 6층 2023년 부평구 2025년 5월 16일
10 상우신명보람 6억 5000만원 111.41㎡ 9층 1998년 부평구 2025년 4월 26일

인천광역시 아파트 실거래가 분석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

인천광역시의 최근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을 살펴보면, 연수구와 서구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송도 지역의 아파트들이 높은 거래 금액을 기록하고 있는데, 송도푸르지오하버뷰가 9억 2500만원으로 가장 높은 가격을 보였습니다. 힐스테이트송도더스카이와 힐스테이트레이크송도2차 등 고층 아파트들도 7억 원을 상회하는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어 송도 지역의 인기가 여전히 높음을 보여줍니다. 서구의 청라센트럴에일린의뜰과 청라SKVIEW도 각각 7억 9000만원과 7억 5300만원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아파트 실거래가 트렌드

최근 인천광역시의 아파트 거래 트렌드는 상대적으로 큰 면적의 아파트들에 대한 수요가 높은 편입니다. 예를 들어, 청라 엑슬루타워와 에코메트로5는 넓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부평구와 남동구의 아파트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대를 기록하고 있으나, 삼산타운6단지와 부평SKVIEW해모로 등은 각각 6억 8000만원과 6억 7000만원으로 꾸준히 거래되고 있어 중저가 시장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동향은 인천 내 다양한 지역 간의 가격 격차와 함께, 지역별 특성에 따른 수요 변화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광주광역시 (아파트 실거래가 Top10)

순위 아파트명 가격 면적 층수 건축년도 지역 계약일
1 봉선3차한국아델리움 9억 1500만원 84.9056㎡ 13층 2014년 남구 2025년 5월 1일
2 광주수완6차대방노블랜드 7억 4000만원 115.943㎡ 7층 2013년 광산구 2025년 5월 9일
3 모아엘가 5억 6600만원 79.8427㎡ 15층 2009년 광산구 2025년 5월 16일
4 유니버시아드힐스테이트3단지 5억 6000만원 84.96㎡ 11층 2016년 서구 2025년 5월 15일
5 힐스테이트지석 5억 84.9892㎡ 12층 2024년 남구 2025년 5월 12일
6 수완대성베르힐 4억 9500만원 84.9888㎡ 12층 2013년 광산구 2025년 5월 16일
7 힐스테이트백운 4억 6000만원 84.977㎡ 9층 2016년 남구 2025년 5월 15일
8 수완영무예다음2차 4억 5500만원 84.7296㎡ 7층 2012년 광산구 2025년 5월 15일
9 효천1중흥에스-클래스에코시티 4억 5000만원 84.9772㎡ 14층 2019년 남구 2025년 5월 15일
10 그랜드센트럴 4억 3500만원 75.9117㎡ 11층 2020년 동구 2025년 5월 15일

광주광역시 아파트 실거래가 분석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

광주광역시의 최근 아파트 실거래 현황을 살펴보면, 봉선3차한국아델리움이 9억 1500만원으로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84.9056 제곱미터의 면적을 가진 남구의 고급 아파트입니다. 반면, 4억 3500만원으로 가장 낮은 거래가 이루어진 그랜드센트럴은 동구에 위치한 75.9117 제곱미터 규모의 아파트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지역별 가격 차이가 뚜렷하며, 특히 남구와 광산구가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아파트 실거래가 트렌드

5월 중순 기준으로 광주광역시의 아파트 거래는 중간 크기의 아파트 (주로 84 제곱미터 내외)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평균 거래가격은 약 5억 원에서 9억 원 사이입니다. 이 기간 동안 거래량은 다양한 가격대의 아파트들로 분산되어 있으나, 5억 원에서 6억 원 사이의 아파트들이 가장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중간 가격대 아파트의 수요가 높은 추세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대전광역시 (아파트 실거래가 Top10)

순위 아파트명 가격 면적 층수 건축년도 지역 계약일
1 대덕테크노밸리2차푸르지오1단지 9억 7000만원 158.175㎡ 5층 2008년 유성구 2025년 5월 16일
2 죽동금성백조예미지 6억 6500만원 84.9553㎡ 7층 2016년 유성구 2025년 5월 11일
3 반석마을3단지(호반베르디움) 6억 4000만원 142.13㎡ 6층 2006년 유성구 2025년 4월 25일
4 도룡포레미소지움 6억 3000만원 61.9804㎡ 10층 2020년 유성구 2025년 5월 1일
5 관저예미지명가의풍경 6억 1000만원 84.772㎡ 22층 2017년 서구 2025년 5월 5일
6 어울림하트 5억 7700만원 84.49㎡ 11층 2011년 유성구 2025년 5월 8일
7 관저더샵 5억 4000만원 84.882㎡ 9층 2018년 서구 2025년 5월 15일
8 반석마을1단지(호반리젠시빌) 4억 9000만원 84.989㎡ 11층 2005년 유성구 2025년 5월 16일
9 금강엑슬루타워 4억 9000만원 141.366㎡ 35층 2012년 대덕구 2025년 4월 25일
10 신흥SKVIEW 4억 6970만원 74.9383㎡ 12층 2022년 동구 2025년 5월 16일

대전광역시 아파트 실거래가 분석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

대전광역시의 최근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을 살펴보면, 유성구가 주요 거래 지역으로 떠올랐습니다. 대덕테크노밸리2차푸르지오1단지가 9억 7000만원으로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하였으며, 죽동금성백조예미지와 같은 중형 아파트도 6억 원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서구와 대덕구, 동구에서도 각각 관저예미지명가의풍경과 금강엑슬루타워, 신흥SKVIEW 등이 5억 원에서 6억 원 사이의 가격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파트 실거래가 트렌드

최근 트렌드는 유성구의 고급 아파트들이 높은 가격대를 유지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중소형 아파트들도 안정적인 가격대를 보이고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5월에 이루어진 거래들은 전반적으로 4억 원에서 9억 원대 사이에 분포하며, 층과 위치에 따라 가격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대전 지역 내에서도 다양한 수요에 맞춘 아파트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울산광역시 (아파트 실거래가 Top10)

순위 아파트명 가격 면적 층수 건축년도 지역 계약일
1 문수로IPARK1 8억 2000만원 84.3093㎡ 2층 2003년 남구 2025년 5월 6일
2 번영로하늘채센트럴파크 6억 8000만원 84.961㎡ 4층 2022년 남구 2025년 4월 27일
3 울산번영로두산위브 6억 5000만원 84.537㎡ 4층 2017년 남구 2025년 4월 25일
4 대현더샵 6억 4000만원 68.632㎡ 4층 2018년 남구 2025년 5월 13일
5 삼성래미안 6억 300만원 125.483㎡ 3층 2001년 중구 2025년 5월 8일
6 울산송정제일풍경채레이크뷰 5억 9500만원 84.9827㎡ 8층 2019년 북구 2025년 5월 15일
7 울산지웰시티자이2단지 5억 7800만원 84.9976㎡ 17층 2023년 동구 2025년 5월 15일
8 울산약사더샵 5억 6800만원 69.943㎡ 3층 2017년 중구 2025년 5월 16일
9 한화꿈에그린아파트1단지 5억 4000만원 127.469㎡ 2층 2010년 남구 2025년 5월 16일
10 아데라움 5억 3700만원 84.9991㎡ 9층 2005년 남구 2025년 5월 15일

울산광역시 아파트 실거래가 분석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

최근 울산광역시의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을 살펴보면, 남구가 주요 거래 지역으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특히, **문수로 IPARK1**이 8억 2000만원으로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하며, 이 지역의 고가 아파트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중구와 북구에서도 각각 **삼성래미안**과 **울산송정제일풍경채레이크뷰**가 6억원대와 6억원 초반대의 가격으로 거래되어 주목받고 있습니다.

아파트 실거래가 트렌드

전반적으로 울산광역시의 아파트 거래는 중형 평형대(주로 84㎡ 내외)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최근 거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5억원대에서 8억원대 사이의 가격대가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특히 남구 지역의 아파트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 중구와 북구는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대를 보이고 있어 지역별 가격 차이가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트렌드는 울산 지역 내에서의 주거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입니다.

세종특별자치시 (아파트 실거래가 Top10)

순위 아파트명 가격 면적 층수 건축년도 지역 계약일
1 새샘마을3단지(모아미래도리버시티) 7억 8000만원 97.994㎡ 19층 2016년 세종시 2025년 5월 12일
2 가온마을2단지 7억 5000만원 97.5713㎡ 6층 2018년 세종시 2025년 4월 30일
3 가재마을10단지 7억 108.399㎡ 14층 2014년 세종시 2025년 4월 28일
4 가재마을9단지 6억 7500만원 96.31㎡ 21층 2014년 세종시 2025년 4월 21일
5 범지기마을12단지(중흥S-에코타운) 6억 5000만원 96.252㎡ 12층 2015년 세종시 2025년 5월 2일
6 새뜸마을6단지(메이저시티) 5억 5300만원 84.9645㎡ 5층 2017년 세종시 2025년 5월 12일
7 도램마을17단지(모아미래도) 5억 5000만원 84.9685㎡ 7층 2015년 세종시 2025년 4월 24일
8 새샘마을9단지(중흥S클래스리버뷰) 5억 4000만원 98.227㎡ 15층 2016년 세종시 2025년 5월 16일
9 가재마을5단지 4억 6000만원 59.9383㎡ 23층 2014년 세종시 2025년 5월 16일
10 가재마을5단지 4억 6000만원 59.9383㎡ 20층 2014년 세종시 2025년 5월 6일

세종특별자치시 아파트 실거래가 분석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

2025년 5월 기준, 세종시의 아파트 실거래가는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습니다. 최상위 거래는 새샘마을3단지의 7억 8000만원으로, 97.994㎡ 규모의 아파트가 거래되었습니다. 반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대인 4억 6000만원대의 가재마을5단지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아파트는 59.9383㎡ 크기로, 세종시 내에서 다양한 주거 옵션을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아파트 실거래가 트렌드

세종시 아파트 시장은 중형 및 대형 평수 아파트의 높은 거래가를 유지하면서도, 중소형 아파트의 안정적인 가격대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거래 동향은 고급 아파트 단지들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있는 반면, 소형 아파트의 경우에도 꾸준한 수요가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세종시 내에서 다양한 주거 수요를 충족시키는 시장의 다변화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경기도 (아파트 실거래가 Top10)

순위 아파트명 가격 면적 층수 건축년도 지역 계약일
1 버들치마을성복힐스테이트1차 9억 9000만원 157.115㎡ 6층 2011년 용인시 2025년 5월 3일
2 하남풍산아이파크(1단지) 9억 800만원 84.942㎡ 9층 2008년 하남시 2025년 5월 10일
3 신정마을성지 9억 7000만원 99.33㎡ 17층 2000년 용인시 2025년 5월 9일
4 신흥역하늘채랜더스원1단지 9억 6500만원 74.92㎡ 1층 2022년 성남시 2025년 5월 8일
5 까치마을(4단지)(롯데) 9억 500만원 51.32㎡ 4층 1995년 성남시 2025년 4월 25일
6 플루리움1단지 9억 3000만원 182.767㎡ 6층 2001년 남양주시 2025년 5월 1일
7 무지개(7단지)(라이프) 9억 3000만원 132.36㎡ 9층 1995년 성남시 2025년 4월 17일
8 동편마을(3단지) 9억 2000만원 74.92㎡ 9층 2012년 안양시 2025년 4월 26일
9 미사강변동원로얄듀크 9억 1500만원 74.7041㎡ 21층 2016년 하남시 2025년 5월 2일
10 장미마을(코오롱)1 9억 1500만원 59.55㎡ 12층 1993년 성남시 2025년 4월 18일

경기도 아파트 실거래가 분석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

5월 기준으로 경기도의 주요 아파트 실거래가는 9억 원대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용인시와 하남시가 높은 가격대를 기록하며, 버들치마을 성복 힐스테이트1차가 9억 9천만원으로 가장 높은 거래가를 보였습니다. 성남시와 남양주시의 아파트도 비슷한 가격대를 유지하며, 다양한 면적대에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아파트 실거래가 트렌드

최근 경기도 아파트 시장은 안정적인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74.92㎡에서 182.767㎡까지 다양한 면적의 아파트가 거래되며, 고층과 중층 아파트가 높은 거래가를 기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성남시와 용인시가 거래 활성화의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으며, 하남시 역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경기도 내 주요 도시들의 부동산 시장 안정성과 수요 지속을 시사합니다.

강원특별자치도 (아파트 실거래가 Top10)

순위 아파트명 가격 면적 층수 건축년도 지역 계약일
1 이편한세상춘천한숲시티 5억 2800만원 84.8462㎡ 16층 2019년 춘천시 2025년 5월 16일
2 춘천더샵 4억 3000만원 145.423㎡ 4층 2008년 춘천시 2025년 5월 11일
3 원주롯데캐슬골드파크1차(5단지) 4억 2000만원 84.9644㎡ 11층 2019년 원주시 2025년 5월 15일
4 원주기업도시8단지호반베르디움 3억 800만원 84.9622㎡ 16층 2018년 원주시 2025년 5월 15일
5 현대성우오스타 3억 8000만원 84.96㎡ 5층 2009년 춘천시 2025년 5월 2일
6 원주시무실세영리첼2차 3억 7600만원 84.9704㎡ 2층 2015년 원주시 2025년 5월 9일
7 송정아이파크 3억 6000만원 84.93㎡ 1층 2019년 강릉시 2025년 5월 11일
8 간성스위트엠센트럴 3억 5000만원 84.2949㎡ 16층 2021년 고성군 2025년 5월 7일
9 단계이안1단지 3억 2000만원 130.47㎡ 8층 2007년 원주시 2025년 4월 28일
10 강릉역동도센트리움 3억 59.996㎡ 21층 2023년 강릉시 2025년 5월 13일

강원특별자치도 아파트 실거래가 분석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

강원특별자치도의 최근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을 살펴보면, 춘천시와 원주시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편한세상춘천한숲시티가 5억 2800만원으로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하였으며, 이 외에도 춘천더샵과 원주롯데캐슬골드파크1차가 각각 4억 3000만원과 4억 2000만원에 거래되어 고급 아파트 시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강릉과 고성군의 아파트도 중소형 규모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대를 보이고 있습니다.

아파트 실거래가 트렌드

최근 거래 트렌드를 보면, 84㎡ 내외의 중형 아파트가 가장 인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효율적인 공간 활용과 가격 경쟁력이 조화를 이루는 크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또한, 높은 층의 아파트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을 기록하는 경향이 있어, 조망권과 안전성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러한 패턴은 강원특별자치도 내에서 아파트 투자와 구매 결정 시 중요한 고려사항이 될 것입니다.

충청북도 (아파트 실거래가 Top10)

순위 아파트명 가격 면적 층수 건축년도 지역 계약일
1 청주테크노폴리스푸르지오 4억 7800만원 84.995㎡ 12층 2018년 청주시 2025년 5월 15일
2 청주테크노폴리스푸르지오 4억 7500만원 84.995㎡ 19층 2018년 청주시 2025년 5월 10일
3 청주테크노폴리스지웰아파트 4억 7400만원 84.9783㎡ 16층 2020년 청주시 2025년 5월 16일
4 한신더휴센트럴파크 4억 6500만원 84.9801㎡ 41층 2018년 청주시 2025년 5월 11일
5 더샵청주퍼스트파크 4억 4500만원 84.9616㎡ 26층 2021년 청주시 2025년 5월 16일
6 청주테크노폴리스우방아이유쉘2단지 4억 4000만원 84.9725㎡ 11층 2018년 청주시 2025년 4월 30일
7 오창롯데캐슬더하이스트 4억 1900만원 84.9241㎡ 38층 2018년 청주시 2025년 5월 2일
8 오창롯데캐슬더하이스트 4억 1800만원 84.9749㎡ 30층 2018년 청주시 2025년 4월 26일
9 신영지웰 4억 1400만원 84.842㎡ 4층 2009년 청주시 2025년 5월 16일
10 가로수마을호반베르디움 3억 7000만원 84.9667㎡ 2층 2008년 청주시 2025년 5월 16일

충청북도 아파트 실거래가 분석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

최근 충청북도 청주시의 아파트 실거래 현황을 살펴보니, 청주테크노폴리스 지역의 아파트들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청주테크노폴리스푸르지오**가 4억 7800만원과 4억 7500만원에 거래되어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했으며, 평균 거래 가격은 4억 원 내외로 나타났습니다. 가장 낮은 거래가는 **가로수마을호반베르디움**으로 3억 7000만원에 거래되었습니다.

아파트 실거래가 트렌드

최근 거래 데이터를 통해 청주시 아파트 시장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주요 아파트들의 거래가가 비교적 일정한 범위 내에 머무르고 있어, 투자와 거주 모두에게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고층 아파트들의 거래가가 높게 형성되는 경향이 있어, 조망권과 위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충청남도 (아파트 실거래가 Top10)

순위 아파트명 가격 면적 층수 건축년도 지역 계약일
1 신영한들물빛도시지웰시티센트럴푸르지오3단지 7억 1500만원 84.9953㎡ 21층 2022년 아산시 2025년 4월 29일
2 한들물빛도시예미지 5억 8500만원 84.6132㎡ 32층 2022년 아산시 2025년 5월 15일
3 서산푸르지오더센트럴 4억 9500만원 84.9772㎡ 2층 2022년 서산시 2025년 5월 16일
4 서산푸르지오더센트럴 4억 7500만원 84.9591㎡ 18층 2022년 서산시 2025년 5월 15일
5 불당아이파크 4억 2000만원 84.95㎡ 7층 2004년 천안시 2025년 5월 1일
6 호반써밋시그니처Ⅱ 3억 9000만원 84.4927㎡ 14층 2023년 당진시 2025년 5월 5일
7 당진센트레빌르네블루1차 3억 9000만원 84.9699㎡ 25층 2023년 당진시 2025년 5월 15일
8 서산석림동라온프라이빗 3억 7500만원 76.993㎡ 13층 2018년 서산시 2025년 5월 14일
9 천안시티자이 3억 7200만원 59.9934㎡ 18층 2018년 천안시 2025년 5월 15일
10 탕정삼성트라팰리스(4단지) 3억 7000만원 83.4986㎡ 36층 2013년 아산시 2025년 4월 30일

충청남도 아파트 실거래가 분석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

최근 충청남도의 아파트 시장 동향을 살펴보면, 아산시와 서산시, 천안시, 당진시 등 주요 도시에서 다양한 가격대의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아산시의 **신영한들물빛도시지웰시티센트럴푸르지오3단지**가 7억 1500만원에 거래되며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당진시의 **호반써밋시그니처Ⅱ**와 **당진센트레빌르네블루1차**는 3억 9000만원대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대를 보이고 있습니다.

아파트 실거래가 트렌드

전반적으로 충청남도의 아파트 실거래가는 지역별로 상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아산과 서산은 중형 평형대 아파트의 거래가 활발하며, 가격대는 4억원에서 7억원 사이를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반면, 천안시와 당진시는 조금 더 저렴한 가격대의 거래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지역 경제 상황과 인프라 개발 계획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전북특별자치도 (아파트 실거래가 Top10)

순위 아파트명 가격 면적 층수 건축년도 지역 계약일
1 전주효천대방노블랜드에코파크 7억 2000만원 107.955㎡ 2층 2020년 전주시 2025년 5월 15일
2 호반베르디움더클래스 6억 8000만원 102.565㎡ 16층 2014년 전주시 2025년 5월 16일
3 포레나전주에코시티 6억 5500만원 84.9615㎡ 24층 2023년 전주시 2025년 5월 11일
4 서신아이파크이편한세상 5억 8000만원 84.9881㎡ 6층 2020년 전주시 2025년 5월 16일
5 전주효천우미린더퍼스트 5억 3800만원 84.9886㎡ 20층 2019년 전주시 2025년 5월 14일
6 우아한시티 5억 2500만원 84.94㎡ 9층 2021년 전주시 2025년 5월 6일
7 호반베르디움 4억 9500만원 84.9396㎡ 5층 2013년 전주시 2025년 5월 12일
8 송천동센트럴파크2단지 4억 7000만원 117.148㎡ 5층 2008년 전주시 2025년 5월 10일
9 서신아이파크이편한세상 4억 550만원 59.9961㎡ 3층 2020년 전주시 2025년 5월 12일
10 송천KCC스위첸 4억 5200만원 84.913㎡ 10층 2016년 전주시 2025년 5월 16일

전라북도 전주시 아파트 실거래가 분석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

전주시의 최근 아파트 실거래 현황은 전주효천대방노블랜드에코파크가 7억 2000만원으로 가장 높은 가격대를 기록하며, 107.955㎡ 면적의 2층 아파트가 거래되었습니다. 반면, 59.9961㎡ 규모의 서신아이파크이편한세상은 4억 550만원에 거래되어 가장 낮은 가격대를 보였습니다. 이들 거래는 2025년 5월 중순에 이루어졌으며, 전주시 내 다양한 아파트 단지의 가격 폭이 넓게 나타남을 보여줍니다.

아파트 실거래가 트렌드

5월 중순의 거래 데이터를 통해 전주시 아파트 시장은 중대형 아파트의 높은 가격대와 함께 중소형 아파트의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대가 공존하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85㎡ 이상의 아파트들이 평균적으로 높은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 60㎡ 미만의 아파트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전주시 내에서도 면적별 가격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전라남도 (아파트 실거래가 Top10)

순위 아파트명 가격 면적 층수 건축년도 지역 계약일
1 순천두산위브 6억 9700만원 144.149㎡ 17층 2011년 순천시 2025년 5월 10일
2 힐스테이트영광 4억 8900만원 113.979㎡ 7층 2024년 영광군 2025년 5월 16일
3 대주피오레 4억 250만원 128.955㎡ 2층 2006년 순천시 2025년 5월 13일
4 광양센트럴자이 3억 8200만원 84.9957㎡ 13층 2022년 광양시 2025년 5월 14일
5 양우비치팰리스 3억 6000만원 150.195㎡ 5층 2007년 목포시 2025년 4월 29일
6 해남파크사이드2차아파트 3억 5900만원 84.9939㎡ 8층 2019년 해남군 2025년 5월 9일
7 빛가람중흥에스-클래스센트럴2차 3억 5500만원 84.9345㎡ 22층 2016년 나주시 2025년 5월 14일
8 순천두산위브 3억 3000만원 84.9265㎡ 16층 2011년 순천시 2025년 4월 27일
9 동성노블힐스2차 3억 1000만원 80.8508㎡ 4층 2017년 여수시 2025년 5월 16일
10 이노시티애시앙1단지 3억 84.52㎡ 17층 2020년 나주시 2025년 5월 11일

전라남도 아파트 실거래가 분석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

전라남도의 주요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을 살펴보면, 순천시의 순천두산위브가 6억 9700만원으로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했습니다. 영광군의 힐스테이트영광과 나주시의 빛가람중흥에스-클래스센트럴2차가 각각 4억 8900만원과 3억 5500만원으로 뒤를 이었으며, 광양시와 목포시의 아파트들도 평균적으로 3억원대 후반에서 4억원대 초반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면적과 층수, 지역별로 다양한 가격대를 보여주며, 계약일은 2025년 4월 말부터 5월 중순까지 집중되어 있습니다.

아파트 실거래가 트렌드

최근 전라남도의 아파트 거래 트렌드는 중형 크기의 아파트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나주시와 순천시가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85㎡ 내외의 아파트가 가장 많이 거래되는 것으로 나타나, 이 규모의 아파트가 지역 내에서 인기가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가격은 지역과 위치, 층 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며, 최근 거래 사례들은 안정적인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경상북도 (아파트 실거래가 Top10)

순위 아파트명 가격 면적 층수 건축년도 지역 계약일
1 두산위브트레지움 5억 1000만원 102.451㎡ 18층 2020년 경주시 2025년 5월 9일
2 중흥에스클래스프라디움 4억 900만원 91.2473㎡ 17층 2016년 김천시 2025년 5월 12일
3 펜타힐즈푸르지오 4억 7600만원 84.2875㎡ 30층 2019년 경산시 2025년 5월 15일
4 김천센트럴자이 4억 4000만원 99.7477㎡ 3층 2019년 김천시 2025년 5월 6일
5 펜타힐즈더샵1차 4억 3700만원 84.9772㎡ 26층 2017년 경산시 2025년 5월 15일
6 펜타힐즈더샵1차 4억 3100만원 84.9772㎡ 5층 2017년 경산시 2025년 5월 15일
7 유강코아루2단지 4억 1000만원 128.508㎡ 20층 2007년 포항시 2025년 5월 15일
8 포항자이아파트 3억 8900만원 84.9388㎡ 31층 2018년 포항시 2025년 5월 9일
9 중방스타힐스 3억 8000만원 84.9989㎡ 8층 2023년 경산시 2025년 5월 16일
10 두산위브트레지움 3억 8000만원 84.7227㎡ 7층 2020년 경주시 2025년 4월 21일

경상북도 아파트 실거래가 분석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

경상북도의 최근 아파트 실거래 현황을 살펴보면, 경주시와 경산시, 김천시, 포항시가 주요 거래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특히 두산위브트레지움이 경주시에서 5억 1000만원에 거래되며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했고, 경산시의 펜타힐즈푸르지오와 펜타힐즈더샵1차가 각각 4억 7600만원과 4억 3700만원에 거래되어 중간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면적은 주로 80~100㎡ 사이에 집중되어 있으며, 높은 층수와 더불어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아파트 실거래가 트렌드

최근 거래 트렌드는 경산시와 경주시가 주도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경산시의 아파트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층 수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경주시의 아파트들은 상대적으로 다양한 가격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5월에 집중된 거래가 이루어지면서 시장의 활성화를 시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동향은 경상북도 내에서 경산과 경주 지역의 부동산 시장이 강세를 보이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경상남도 (아파트 실거래가 Top10)

순위 아파트명 가격 면적 층수 건축년도 지역 계약일
1 용지아이파크 9억 2000만원 84.7227㎡ 5층 2017년 창원시 2025년 5월 1일
2 용지아이파크 9억 2000만원 84.7227㎡ 26층 2017년 창원시 2025년 5월 10일
3 창원더샵센트럴파크3단지 6억 6300만원 84.8074㎡ 9층 2017년 창원시 2025년 5월 3일
4 창원가음한화꿈에그린 6억 6000만원 84.9763㎡ 26층 2017년 창원시 2025년 4월 27일
5 창원더샵센트럴파크2단지 6억 3100만원 84.8074㎡ 16층 2017년 창원시 2025년 4월 29일
6 꿈에그린 5억 9950만원 84.9008㎡ 16층 2014년 창원시 2025년 5월 15일
7 성산반도유보라아이비파크 5억 4000만원 78.9547㎡ 8층 2022년 창원시 2025년 5월 12일
8 양산대방노블랜드8차로얄카운티 5억 1300만원 84.9888㎡ 29층 2018년 양산시 2025년 5월 7일
9 창원롯데캐슬프리미어 4억 5100만원 84.9302㎡ 16층 2020년 창원시 2025년 5월 11일
10 대동 4억 4000만원 115.032㎡ 11층 1994년 창원시 2025년 5월 1일

경상남도 아파트 실거래가 분석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

2025년 5월 경상남도 창원시 및 양산시의 주요 아파트 실거래 현황을 살펴보면, 용지아이파크가 9억 2000만원으로 가장 높은 거래가를 기록했습니다. 창원시 내에서는 창원더샵센트럴파크 시리즈와 창원가음한화꿈에그린 등이 인기를 얻고 있으며, 평균 거래가는 5억원대에서 9억원대 사이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면적은 주로 84㎡ 내외로 중형 아파트가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아파트 실거래가 트렌드

최근 데이터를 통해 창원시와 양산시의 아파트 시장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용지아이파크와 같은 고급 아파트의 거래가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해당 지역의 부동산 가치가 견고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거래량이 제한적인 만큼, 시장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아파트 실거래가 Top10)

순위 아파트명 가격 면적 층수 건축년도 지역 계약일
1 디지털한빛 4억 7400만원 84.719㎡ 9층 2005년 제주시 2025년 5월 15일
2 HausD블루오션 4억 4800만원 84.94㎡ 12층 2015년 서귀포시 2025년 5월 6일
3 부영2차 3억 45.9078㎡ 2층 2001년 제주시 2025년 5월 15일
4 일도1차대림 2억 9500만원 77.02㎡ 5층 1994년 제주시 2025년 5월 3일
5 대명2차꿈의고향 2억 9500만원 84.97㎡ 11층 2004년 제주시 2025년 5월 13일
6 광명샤인빌 2억 2500만원 59.2517㎡ 4층 2006년 제주시 2025년 5월 15일
7 아라천일 1억 6700만원 59.94㎡ 4층 1992년 제주시 2025년 4월 26일

제주특별자치도 아파트 실거래가 분석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

제주특별자치도의 최근 아파트 실거래 현황을 살펴보면, 제주시와 서귀포시 모두 다양한 가격대의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한빛이 4억 7400만원으로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했으며, 면적은 84.719㎡로 상대적으로 큰 평형대에 속합니다. 반면, 아라천일은 1억 6700만원으로 가장 저렴한 가격대를 보이고 있으며, 59.94㎡의 중소형 아파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지역 내 아파트 시장의 다양성을 보여줍니다.

아파트 실거래가 트렌드

최근 거래 동향을 보면, 제주시가 주요 거래 지역으로 떠올랐습니다. 제주시 내 여러 아파트들이 거래를 이끌고 있으며, 특히 84㎡ 안팎의 중형 아파트가 인기를 얻고 있는 추세입니다. 반면, 서귀포시는 HausD블루오션의 거래를 통해 상대적으로 고급 아파트 시장의 활성화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처럼 제주특별자치도 내에서도 지역별 특성에 따른 시장 차별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최신글 더보기

국토교통부-아파트-실거래가
아파트 실거래가